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저자 : 김혜남
출판사 : 웅진씽크빅 출판사
|
본인이 삼십 대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요즘은 유독 30대에 관련된 책이 눈에 들어온다. 공자는 서른을 而立 이라 했고, 김광석은 ‘서른 즈음에’란 노래로 서른의 슬픔을 노래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서른이란 나이는 인생에 크나큰 영향을 주는 나이임에는 틀림이 없다. 더군다나 지금의 30대는 IMF라는 폭탄을 맞은 불운한 세대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이런 불쌍한 삼십대 에게 괜찮다고 다독여주며, 왜 그런지 무엇이 문제인지 조목조목 말해 주고 있다. 근본적으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감정 두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사랑과 외로움일 것이다. 물론 감정은 복합적으로 구성되며, 단순히 무엇이다라고 규정하기는 어려운 성격을 갖는다. 하지만 계속 파고 들어가보면 나오는 것은 외로움에서 벗어나려는 욕망과 사랑 받고 싶다는 욕망일 것이다.
가기 전엔 누구나 희망하고 즐거운 길이라 여겼던 것도 지나고 나면 모두가 괴롭고 힘들어한다.. 돌아보면 돌기둥으로 변한다는 경고를 듣고서도 판도라의 호기심과 같은 마음으로 기어코 뒤를 돌아보고 돌기둥이 되어버리고 마는 어리석은 존재인 것이다. 나이 서른은 바로 그런 시행착오의 한가운데 서 있는 시기이며, 본격적인 인생의 풍파가 밀어닥치는 때이다. 직장에서 1~2년 차 이고, 결혼을 했거나 준비할 시기이며, 부모의 곁을 떠나 자신의 가정을 만들어 가면서 갖은 시행착오와 마주하는 때이기도 하다. 그럼, 30대는 왜 불행할까? 그 답과 해결책은 바로 자기 자신 속에 있다.(당연한 말이지만)
“인생은 완벽한 이상향에 대한 '추구'로서 충분하다. 완벽은 없으며 그것에 다다르는 순간 그것은 더 이상 완벽이 아니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다. 인간에게 완벽이란 없다. 자신을 사랑하다. 행복은 '추구'될 때 가장 큰 의미를 갖는다. 기쁨이건 어려움이건 삶은 살아가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내가 속한 상황, 환경, 현실에 대해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인정하기 위해 보내는 시간이다. 결과적으로 현실은 변한 것이 없고 때로 어떤 조건은 나빠지기까지 하였지만, 나는 조금씩 현실을 인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어린 시절엔 세상이 바뀌길 기대했지만, 결국 바뀌는 것은 내 자신이다. 삶은 스스로 길들여져가는 과정이다.
30대는 그러한 숫한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깨우침을 바탕으로 혼돈과 불안에서 벗어나 좀 더 강하게 선택하고 행동하며 전진할 때다. 분명 그렇게 행동할 수 있는 시기이다. 어려움이 눈 앞에 오더라도 외면하지 말고 어렵더라도 내 삶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란 말이다. 그것이 인생이니까. '네가 항상 옳다는 것을 잊지 마라. 심지어는 네가 틀렸더라도 말이다!' 자신을 보다 사랑하라~ 삼십대여 좀더좀더 건방져 저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