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개의 전략메모
저자 : 박종안
출판사 : 흐름출판
|
12개의 전략메모 - 100명의 머리를 이기는 짜릿한 전략 이야기
박종안 지음
우연히 서점을 들러 전략서적을 뒤지다보니 ‘12개의 전략메모’라는 책이 눈에 들어왔다. 우화형식의 전략서이니 한번 가볍게 읽어보리라 다짐하고 얼른 집어 들었다. 딱딱한 경영서적이기보다는 손자병법을 우화 형식으로 현대식으로 재구성한 책이다 보다 읽기가 수월했다. 하긴 하루 만에 다 읽어버렸으니….
그렇다고 이 책을 가볍게 생각하면 오산이다. 중간중간 주인공이 위기를 아버지가 남긴 12개의 전략메모와 손자병법을 활용해서 성공적으로 대처하는 사례들은 기발하면서도 창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우리는 어쩌면 책에서 배운 전략이라는 틀 속에 맞춰 따라가는데 급급하지 않았나 자문해 본다.
책에서 배운 전략을 토대로 현재 자기가 처해 있는 상황에 맞게 응용하고 활용하기 보다는 틀에 낮춰 전략을 세우지 않았는지…. 이책에서 내세우는 키포인트는 창의성 있는 전략이다. 창의력 컨설팅 전문가인 저자는 특히 ‘한국형 맞춤 창조전략’으로 접근하라고 조언한다.
저자는 손자병법에서 동양적 창조경영의 요소가 담겨있음을 소개하고, 창조경영을 성공으로 이끄는 노하우를 소개한다. 또 개인이 창조적인 조직생활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창의력 기술을 곁들였다.
얼마 전 입버릇처럼 말해왔던 벤치마킹 전략도 경영핵심전략이 될 수 없다. 그 이유는 성공한 어느 기업을 벤치마킹해서 따라간다고 해서 성공의 가능성을 기대하기도 어렵고 오래 지속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경영 핵심전략이 바로 창의성이라고 설명한다. 실례로 뱁새가 황새를 쫓아가면 가랑이가 찢어진다는 옛말이 있다. 그렇다면 뱁새는 영원히 황새를 이길 수 없는 것인가.
발상전환과 창의를 발휘한다면 조그만 터널을 통과해 달린다든가 등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도록 규칙을 바꾸면 가능하다. 황새의 유리한 규칙을 인정하면 평생 황새의 뒤꽁무니를 쫓아다닐 수밖에 없다고 지은이는 설명한다. 어찌 보면 우리는 지금까지 고객의 유리한 규칙 하에 고객의 조건에 맞도록 쫓아다니지는 않았나 생각해본다.
우리의 강점은 무엇이고 우리에게 유리한 규칙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유리한 규칙을 적용하며 고객이 따라오게끔 만들 그 창의적인 발상은 무엇일까. 심각히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다짐해 본다. “우리 모두 창의성 있는 괴짜가 되어보자고…..”
다음은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본다.
손자는 주인공에게 손자병법 병세편(兵勢篇)의 한 구절을 읊어주면서 다음과 같이 조언을 한다.
성불과오(聲不過五)나 오성지변(五聲之變)은 불가승청야(不可勝聽也)요. 색불과오(色不過五)나 오색지변(五色之變)은 불가승관야(不可勝觀也)요. 미불과오(味不過五)나 오색지변(五味之變)은 불가승관야(不可勝嘗也)요. 전세불과기정(戰勢不過奇正)이나 기정지변(奇正之變)은 불가승궁야(不可勝窮也)라. 기정상생(奇正相生)은 여순환지무단(如循環之無端)야니라. 숙증궁지재(孰能窮之哉)라.
“소리는 다섯 가지 기본 소리에 불과하지만 다섯 소리를 서로 섞으면 이루 다 들을 수 없는 다양한 소리가 만들어지네. 색은 다섯 가지 기본 색에 불과하지만 다섯 색이 서로 섞이면 이루 다 볼 수 없는 다양한 색이 만들어지네. 맛은 다섯 가지 기본 맛에 불과하지만 다섯 맛이 서로 섞이면 이루 다 맛볼 수 없는 다양한 맛이 만들어지네. 전쟁의 전술도 ‘원칙’과 ‘변칙’ 두 가지에 불과하지만 그 두 가지가 서로 섞이면 이루 다 추측할 수 없는 다양한 전술이 만들어지는 법이지. ‘변칙’과 ‘원칙’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것일세. 그것은 마치 연결된 고리의 끝이 없는 것과 같으니 누가 그 변화의 끝을 알 수 있겠는가?”
“창조는 ‘기(奇)’요, 경영은 ‘정(正)’이다” 창조는 놀라움이요. 경영은 바름이라고 하며, 7:3의 비율을 유지하라는 손자의 마지막 말이 뇌리에 계속 맴돈다.
직원 격려에 대해 첫째, 격려는 시기적절하고 즉각적이며, 무조건적이고, 열성적이어야 한다. 둘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뿐만 아니라, 일의 진행과정에서도 서로를 응원해야 한다 셋째, 열정은 미션과 금전적 보상 그리고 격려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